-소아청소년기 뿐 아닌 성인기 골절 비롯한 뼈 건강의 핵심적 위험 인자
‘소아청소년 골다공증(pediatric osteoporosis)’에 대한 현대과학적 논문 근거를 갖춘 한의학적 치료법. - 특허한약 접골탕(接骨湯)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 검증 및 세포 기전 연구 중심으로
골다공증은 노화에 의한 대표적인 성인 질환으로 그동안 잘못 인식되어 왔으나, 현재는 그 기원이 소아청소년 시기에서의 부적절한 골(뼈) 형성과 충분하지 못한 골량 축적에서 시작된다는 인식이 학계의 지배적 의견입니다.
즉, 골다공증의 위험 인자로서 고령화·가족력·흡수 장애·저체중·칼슘 섭취량 감소 등 매우 다
![]() |
사실 소아청소년에서 ‘일차성’ 골다공증은 상대적으로 드문 질환이지만, 다른 만성 질환의 경과 또는 그 만성 질환의 치료 과정 자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이차성’ 골다공증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소아청소년 골다공증은 소아청소년기 뿐만이 아니라 성인기 골절을 비롯한 뼈 건강의 핵심적인 위험 인자입니다.
소아청소년의 경우,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의 기준에 따라서 다음 2가지 중 하나의 기준을 충족할 때 골다공증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1.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검사상 저골밀도로 진단되고 장골(長骨)의 비외상성 골절 과거력이 총 3회 이상(단, 10세 이하 어린이는 총 2회 이상) 발생된 경우
2. 골밀도와 전혀 상관없이, 1개 이상의 비외상성 척추 골절이 발생한 경우
소아청소년 골다공증은 크게 일차성 골다공증과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됩니다.
1. 일차성 골다공증
일차성 골다공증은 대부분 유전 질환(유전자 돌연변이)인데,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골형성부전증(Osteogenesis imperfecta)’입니다.
골형성부전증은 청색 공막·치아 이상(상아질 형성 부전증)·청력 소실·인대 이완증·관절 과잉신전·키성장 부진(저신장·키성장 장애)·매우 작은 힘(재채기·기저귀 갈기·안기)에도 아주 쉽게 발생하는 반복적 골절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는 병입니다.
특발성 소아청소년 골다공증은 사춘기 이전의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질환으로서, 척추뼈와 장골의 다발성 골절·잦은 요통·뼈의 변형·보행 장애·키성장 저하 증상을 보입니다.
2. 이차성 골다공증
최근 소아청소년 난치성 만성 질환의 장기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소아청소년 골다공증이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난치성 만성 질환을 앓는 어린이가 이차성 골다공증에 걸리게 되는 이유는, 만성 염증·질환 자체·영양 결핍·흡수 장애·스테로이드(글루코코르티코이드, glucocorticoid)처럼 부작용이 상당히 많은 약물 치료에 의한 의인성(醫因性:의사가 시행하는 치료 행위로 인해 발생) 등의 다양한 조합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각종 호르몬의 과잉 또는 결핍에 의한 내분비계 질환은 이차성 골다공증의 중요한 병리적 기전을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쿠싱 증후군이나 스테로이드(글루코코르티코이드, glucocorticoid) 과잉 노출은 소아청소년 시기의 골량 증가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합니다.
소아청소년의 이차성 골다공증을 야기하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은, 신경근육 질환·소화기 질환·신장 질환·신경성 식욕부진·류마티스 질환(자가면역 질환)·소아암(악성 종양)·장기 이식 등입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소아암(악성 종양)은, 소아청소년 시기 골절 및 골다공증의 위험 인자일 뿐만 아니라, 장기 생존자의 성인기 골다공증을 야기함으로써 삶의 질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됩니다. 백혈병·임파종·뇌종양 치료 이후에 발생되는 성인기 골밀도 감소는 널리 잘 알려져 있습니다. 백혈병은 진단될 당시 이미 약 6~7% 환자에게서 척추 골절이 발견되며, 약 2년 동안의 항암 치료 이후에는 약 83% 환자에게서 골밀도 감소 소견을 보이고 있으며, 약 39~40% 환자에게서는 실제로 골절이 발생합니다. 항암 치료 과정 중에 해당 소아암(악성 종양) 어린이는 일반적으로 영양 결핍과 운동 부족을 경험하고, 항암 치료(항암제) 자체의 골(뼈) 독성으로 인해서 골밀도가 감소됩니다.
어린이 질병 치료를 위해서 자주 처방되는 스테로이드(글루코코르티코이드, glucocorticoid) 뿐만이 아니라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헤파린(heparin)·항경련제·GnRH 유사체(어린이 성조숙증 치료 주사 :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방사선 치료 등은 모두 소아청소년 골다공증을 쉽게 유발시킵니다.
현재 골다공증 및 골절 전문가들은 심한 소아청소년 골다공증에서는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골(뼈) 흡수 억제제) 사용을 정당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만, 어린이 환자의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골(뼈) 흡수 억제제)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약 70% 환자에게서 치료 이후 고열과 심한 몸살이며, 두통·설사·변비·소화불량·식도염도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청소년에게 장기적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골(뼈) 흡수 억제제)를 투약할 경우에는, 미세한 골(뼈) 손상 축적·수술 시 골절 치료 시간 지연·부정유합·성장판 손상·성장장애(키성장부진)·산모에서 태아에의 기형유발 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아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A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2005년,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와 한약 제제의 골(뼈) 성장 효과에 대한 국내외 실험 연구 고찰(A Literature Review of Experimental Study about Herbal Medicine for Bone Growth)(2021년,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등 현대과학적 최신 연구 논문들을 살펴보면, 당귀(當歸) 진피(陳皮) 복령(茯笭) 산약(山藥) 황기(黃芪) 가시오가피(刺五加皮) 두충(杜沖) 인동(忍冬) 구기자(枸杞子) 숙지황(熟地黃) 황백 (黃柏) 사인(砂仁) 속단(續斷) 산수유(山茱萸)를 중심으로 해서,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과 사물탕(四物湯) 계통의 다수의 식물성 한약 처방들이 실질적으로 (후성유전학적 변화 과정을 통해) 매우 안전하면서도 뚜렷하게 골(뼈) 성장 효과와 함께 골밀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임상적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2024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연구팀은 총 43개의 무작위 대조 연구(RCT)를 대상으로 해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비스포스포네이트 단독 치료 대비 비스포스포네이트와 한약의 병행 치료에 대한 골밀도 개선 효과를 비교 평가하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데이터 분석 결과 한약과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병행해서 치료할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단독으로 복용했을 때보다, 요추 골밀도는 0.10g/cm²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0.08g/cm²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특히 대퇴골 골밀도의 경우 0.1g/cm² 감소될 경우 골절 위험이 무려 3배나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이번 연구에서 보고된 한약을 통한 골밀도 개선 효과는, 골절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논문은 저명한 SCI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Pharmacology(Impact Factor : 4.4)에 게재되었습니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연구팀이 정부 연구 과제로 2018년에 수행한 ‘특허한약 접골탕(接骨湯)의 골다공증 개선 효능 검증 및 세포 기전 연구(정보화 단계: 국립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와 2019년에 진행한 ‘골다공증 개선 효과 한약 제제 개발을 위한 특허한약 접골탕(接骨湯) 연구(산업화 단계: 국립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약 치료기술 공공자원화 사업단)’ 논문을 살펴보아도, 특허한약 접골탕(接骨湯)과 같은 식물성 한약(천연물) 처방이 부작용은 거의 없고 매우 안전하면서도 임상적으로 뚜렷한 골다공증 개선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후성유전학적 차원에서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황만기 한의학박사 약력
(現) 황만기키본한의원(국내 최초 키성장·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클리닉) 대표원장
(現) 서강대학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사/석사/박사 졸업(한의학박사 취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일반대학원 의학박사 수료
△보건복지부장관상·동의보감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특허청장상·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등 수상
<골절 골다공증 특허한약 접골탕 임상 상담 300케이스-비대면 진료를 중심으로>(2024)
<골절·골다공증 비수술 한약 치료 논문 자료집>(2023)
<현대과학적 논문 근거를 갖춘, 골절 골다공증 비수술 한약 치료 이야기-특허한약 접골탕의 모든 것>(2022)
<소아청소년 키성장·성조숙증 클리닉-현대과학적 논문 근거를 갖춘 한의약 클리닉>(2022) 등 총 19권의 저서(번역본 포함)와 총 14편의 SCI(국제의학저널)·KCI(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논문 발표
※ 대한민국 특허 총 8개(키성장·골절·골다공증·총명) 취득 및 미국 특허 총 3개(키성장·골절·골다공증) 출원 중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