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대 선정 정부 잣대 논란

이동훈 기자 / 2025-08-05 12:11:12
LLM 선도 기업 탈락, 기술 외적 요소 작용했나
정부 "기술력·확장성 기반 평가...평판은?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 선정 결과에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목표로 추진하는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T, NC AI, LG AI연구원 등 5개 정예팀이 최종 선정됐다. 이들은 국내외 주요 기업 및 연구기관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범용·전문 AI 모델을 개발하며, 정부는 이들에게 2000억 원 규모의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 말 1차 평가를 거쳐 생존팀을 줄여나가는 방식으로 성과 중심 경쟁체계도 병행된다.

이 같은 정부의 결정은 기술력과 파트너십을 우선시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대형 보안 사고로 논란의 중심에 섰던 SKT는 포함되고 카카오가 제외된 것을 두고 산업계 안팎에서는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SKT는 올해 상반기 사상 최악의 고객정보 해킹 유출 사고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그 피해 규모와 범위, 대응 과정 모두에서 비판 여론이 들끓었고, 국회와 시민단체는 잇따라 책임자 문책과 보안 체계 재정비를 촉구했다.

그러나 과기정통부는 이 기업을 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으로 공식 선정했다. SKT는 KAIST, 크래프톤, 리벨리온 등과 손잡고 ‘포스트 트랜스포머’ 기반의 차세대 AI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했고, 총 2000억 원 규모의 사업 중 GPU 자원에만 1576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AI 플랫폼 대중화’의 대표 주자였던 카카오는 이번 정예팀 선정에서 탈락했다. KoGPT 등 자체 LLM 개발을 꾸준히 이어왔고, 계열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중심으로 공공·기업용 AI API 사업도 확대 중이었다.

그러나 업계는 “카카오가 보여준 AI 실적은 주목할 만하지만, 정작 정부 프로젝트에서는 그 무게감이 반영되지 못했다”고 입을 모은다. 정치권과의 미묘한 관계, 플랫폼 독점 논란, 메신저 정보 투명성 논쟁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카카오는 골목상권 침해, 문어발식 확장 등으로 축적된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적잖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브랜드 스토리텔링 측면 등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를 구축하지 못한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이에 “사실상 평판 리스크로 탈락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 힘을 얻고 있다.

정부는 이번 선정을 두고 “모델 확장성, 산업 연결력, 데이터 활용 역량, GPU 자원 운영 계획 등을 종합 평가한 결과”라고 밝혔지만, 항간에선 “평가 항목이 기술력과 운영능력 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