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명건 세종대 명예이사장, ‘내륙항 대구항’ 필요성 주장

김혜연 기자 / 2024-08-14 10:37:13

[하비엔뉴스 = 김혜연 기자] 세종과학기술원(SAIST)이 지난 13일 세종대학교 대양AI센터에서 ‘내륙항 대구항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주명건 세종대 명예이사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첫째 낙동강을 준설해 대구를 세계적인 내륙항으로 개발해 부산과 함께 세계 공급망의 중심이 돼야 한다. 이러한 개발을 통해 한국은 새로운 해양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기회다. 둘째 대구항은 서해보다 중국과 멀리 떨어져 있어 안보상으로도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국토개조전략 개념도 [사진=세종대학교]

 

주 명예이사장의 주장에 따르면, 모든 선진국들은 내륙항을 개발해 국력을 극대화했다. 독일 뒤스부르크항(230㎞), 함부르크항(110㎞), 앤안트워프항(88㎞), 만하임(480km), 쾰른(290km), 칼스루에(430km), 미국 뉴올리언스항(210km), 포틀랜드항(160km), 중국 쑤저우항(100km), 난통항(120km), 난징항(320km), 충칭항(2400km), 우한항(1000km)은 내륙항 성공사례다. 

 

이러한 내륙항들은 물류중심지로서 국가경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대구는 낙동강 하구에서 불과 100km 떨어져 있기에 내륙항으로써 훨씬 더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는 것.

주 이사장은 “한국 인구 78%는 한강과 낙동강 연변에 집중돼있다. 국제화 시대에 한국 국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들을 세계 공급망에 연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주 이사장은 한국이 현재 세계사적 변곡점에 있으며, 국력을 결집하면 G2 국가로 도약할 수 있지만, 세계정세를 잘못 읽거나 기회주의와 지역 이기주의에 함몰되면 국가 몰락 위험이 있다고 전한다. 

내륙항 개발에 필요한 비용도 문경까지 낙동강을 10m 깊이로 준설해 일부는 매립토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매각하여 공사비를 조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낙동강을 10m 깊이로 준설하면 물그릇을 191억 톤 늘릴 수 있으며, 소양강댐 7배 정도 물그릇 크기를 늘려 가뭄과 홍수를 획기적으로 대비할 수 있으며, 물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낙동강 준설로 반도체, 철강, 기계 그리고 축산업 등 대구, 부산 그리고 경상남북도 경제를 획기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내륙항 대구항을 개발하면 문경까지 낙동강 준설토 매각으로 160조원 수익, 부산 강서구 매립지 매각으로 218조원이 발생해 총 378조원 수익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