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한시은 기자] LG생활건강은 피부톤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 유전자를 규명한 연구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했다고 15일 밝혔다.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은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로부터 원인 유전자를 발굴하는 전장 유전체 연관성 연구 등 다양한 분석 기술을 적용해 타고난 피부톤에 영향을 주는 23개 유전자 영역을 밝혀냈고, 이 가운데 11개는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 |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이 타고난 피부톤에 영향을 주는 23개 유전자 영역을 밝혀냈다. [사진=LG생활건강] |
이는 지난 6년간 구축한 동아시아인 5만7000여명의 피부 유전체 빅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원홍희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 연구진과 정충원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등 생물정보학 전문가들이 공저자로 참여했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제목은 ‘유전체 분석을 통한 피부색 유전자 및 다유전성 적응 규명’으로, 연구진은 멜라닌 생성·피부 질환·비타민D 합성 등과 연관된 유전자를 발굴하고, 피부 조직과 이를 구성하는 피부 세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확인했다.
새롭게 발굴한 ‘GAB2’ 유전자는 기미 등 색소 침착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의 전구체 ‘타이로신’의 인산화를 촉진하는 것과 관련돼 있고, ‘SLC45A3’ 유전자는 세포의 에너지 생산 및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는 특히 글로벌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 분석해 다양한 인종의 피부톤 특성을 해석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은 타고난 피부톤을 예측할 수 있는 ‘유전자 점수’ 계산법으로 아시아· 유럽·아프리카·중남미 등 26개 지역 사람들의 피부톤 특성을 예측한 결과 아시아인에서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또 피부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위도와 일조량, 자외선 차단제 등 환경 요소와 이들 요인의 상호 관계를 정량적으로 해석했다.
이번 분석에서 유전자 점수가 낮은 사람은 타고난 피부 밝기가 어두울 가능성이 높은 반면 유전자 점수가 높은 사람은 타고난 피부 밝기가 밝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 매일 3시간 이상 햇빛에 노출되는 사람은 본인의 피부톤 유전자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강내규 LG생활건강 CTO(최고기술책임자)는 “이번 연구에서 규명한 피부 유전자들은 고효능 피부 광채 솔루션 개발을 위한 타깃 유전자가 될 수 있어 활용 가치가 높다”며 “피부 유전체 기반 연구를 통해 글로벌 고객이 차별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화장품을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LG생활건강은 피부 유전체 연구 성과를 활용해 고효능 안티에이징 성분을 개발하고 있다. 실제로 피부톤과 탄력 등 세분화된 피부 노화 특성을 관리할 수 있는 복합 광채 개선 소재 ‘프로-래디언스TM’를 개발해 지난해 9월 리뉴얼한 ‘더후 천기단’ 화장품에 적용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