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공조 기업 플랙트 인수, 삼성전자 '미래' 건 투자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냉난방 공조 시장의 성장세는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520조 원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삼성전자가 독일의 환기 공조 시스템 기업인 플랙트(FläktGroup) 인수를 추진하는 과감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14일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Triton)이 보유한 독일 플랙트 지분 100%를 15억 유로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플랙트는 10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을 가진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이다.
![]() |
삼성전자 [사진=연합뉴스] |
가혹한 기후 조건에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로 깨끗하고 쾌적한 공기의 질을 구축하고자 하는 프리미엄 공조 기업이다.
플랙트는 고객별 니즈에 맞춘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할 수 있는 라인업과 설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동안 △안정적 냉방이 필수인 대형 데이터센터 △민감한 고서/유물을 관리하는 박물관/도서관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터미널 △항균/항온/항습이 중요한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고품질/고효율 공조 설비를 공급해왔다.
특히 글로벌 대형 데이터센터 공조 시장에서 뛰어난 제품 성능과 안정성, 신뢰도 있는 서비스 지원 등으로 높은 고객 만족도를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지속해 오고 있다.
플랙트의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저탄소/친환경 목표 달성이 중요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냉각액을 순환시켜 서버를 냉각하는 액체냉각 방식인 CDU(Coolant Distribution Unit)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냉각용량, 냉각효율의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다.
플랙트는 데이터센터 외에도 글로벌 톱 제약사, 헬스케어, 식음료, 플랜트 등 60개 이상의 폭넓은 대형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삼성전자, 공조사업을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적극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를 통해 가정용 에어컨 중심의 사업 구조를 넘어, 고성장이 예상되는 상업용 공조 시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삼성전자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플랙트 인수가 삼성전자에 가져다줄 시너지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플랙트의 기술력과 유럽 시장 네트워크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강력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특히, 건물 에너지 효율과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고효율 환기 공조 시스템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만큼, 플랙트의 기술력은 삼성전자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성전자의 스마트홈 플랫폼인 '스마트싱스(SmartThings)'와의 연동을 통해 에너지 관리, 자동 제어 등 더욱 스마트하고 편리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며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플랙트 인수 추진은 삼성전자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냉난방 공조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움직임이다. 이미 시스템 에어컨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플랙트 인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경우, 명실상부한 글로벌 냉난방 공조 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다만, 인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와 시장 경쟁 심화 등 넘어야 할 과제도 존재한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과감한 투자와 기술 혁신 의지가 결합된다면, 520조 원 규모의 냉난방 공조 시장에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글로벌 공조 시장은 2023년 2335억 달러(약 317조원)에서 2030년 3826억 달러(약 519조60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 공조 시장도 2034년 488억 달러(약 66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2024년 5월 미국 공조업체 레녹스(Lennox International Inc.)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삼성전자의 기존 판매채널에 레녹스의 판매채널을 더해 북미 공조시장 공략도 강화한 바 있다.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업체 플랙트를 인수하며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