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노이슬 기자] '내가 죽던 날'은 범죄를 다루는 영화일 줄 알았다. 미스터리라는 장르 특성상 무거운 사회적 메시지를 던질 줄 알았다. 하지만 뚜껑을 연 '내가 죽던 날'은 그야말로 뒷통수를 맞은 느낌이었다. 벼랑 끝에 선 이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힐링 드라마였다.
영화 '내가 죽던 날'은 유서 한장만 남긴 채 절벽 끝으로 사라진 소녀와 삶의 벼랑 끝에서 사건을 추적하는 형사, 그리고 그들에게 손을 내민 무언의 목격자까지 살아남기 위한 각자의 선택을 그렸다.
'내가 죽던 날' 속 현수(김혜수)는 남편과 이혼을 앞두고 있으며, '불륜녀'라는 오명을 떠 안았다. 자신의 삶이 버겁지만 일이라도 해야나을 것 같아 복직을 결심한다.
그녀가 떠맡은 일은 한 섬에 거의 감금되다 시피 살던 세진(노정의)의 사건 마무리다. 태풍오는 날 저녁 세진은 사라졌다. 세진의 마지막 뒷 모습은 파도가 부서지는 벼랑 끝 CCTV에 담겼다. 하지만 시체도 찾지 못해 수사가 종결되지 못하고 있다. 어느 누구도 세진을 본 이가 없다.
영화는 형사 현수의 시선을 따라간다. 현수는 세진이 지냈던 섬에서 마을 사람들과 목격자들과 인터뷰를 하며 세진의 흔적을 찾아나선다. 하지만 세진의 시체를 찾지 못했다고 해도 그를 담당했던 동료 형사에게 마저도 세진의 일은 '남일'이다.
현수는 세진의 흔적을 찾으면서 그에게 연민을 느낀다. 극 중 현수는 친구(김선영)에게 "나는 내 삶이 괜찮은 줄 알았다. 근데 나도 모르는 새에 내 인생이 박살났다"며 자신이 손 쓸수 없을 정도로 제 삶이 망가졌다고 한다. 세진은 고작 고등학생이다. 그는 아버지와 오빠의 잘못으로 경찰, 검찰의 감시 하에 갇혔다. 제 스스로 섬을 탈출할 수도 없다. 그렇기에 현수는 형사임에도 불구하고 세진의 일을 '사건'으로 보지 않고 '사람'에 집중했다.
명불허전 연기파 배우 김혜수와 이정은의 만남은 완벽한 시너지를 이뤘다. 특히 이정은은 목소리가 없는 캐릭터임에도 강렬한 임팩트가 있다. 아역에서 성인 연기자로서 첫 발을 내딛은 노정의도 제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김선영, 문정희, 조한철, 김태훈, 이상엽 등 내로라하는 배우들의 등장도 눈길을 끈다.
최근 충무로에 여풍이 부는 가운데 '내가 죽던 날'도 감독은 의도하지 않았으나 '여성 캐릭터'가 주를 이룬다. 극을 이끄는 현수를 비롯해 그의 상사가 여성이라는 점은 현수의 입장을 더 이해하고 배려하는 의미로 보여져 '섬세함'이 더해진 느낌이다. 반면 변호사 역 조한철을 제외한 김태훈과 이상엽은 고운 이미지로 나오지 않는 다는 점도 재미를 안긴다.
초반 특이점 없이 반복되는 현수의 인터뷰는 다소 지루함을 안길 수 있으나 명불허전 배우 김혜수와 이정은의 시너지는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폭발하며 감정을 동요시킨다. 김혜수에 운명처럼 다가와 힐링을 안긴 '내가 죽던 날'은 12세 이상 관람가, 개봉은 11월 12일이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