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다수의 직장인들은 은퇴 시기를 맞이할 때 향후를 어떻게 살아가야 될 지 고민하기 마련이다. 은퇴로 인해 매달 나왔던 수입이 현저히 줄고 나이가 듦으로 인해 건강 이상으로 많은 병원비를 지출해야 할 수 있어 노후대비책을 빈틈 없이 준비해야 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노후를 책임질 3중 연금체계로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을 구축했다. 이 중에서 중장년층들이 노후 대비로 사람들에게 각광받고 있는 것은 바로 '국민연금'이다. 이는 우리나라 정부에서 국민들의 노후 준비를 위해 마련한 것으로 나이가 들어 노후 소득이 없을 때 생활비 등 경제적인 생활을 많이 지원해준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공적 연금 제도인 국민연금은 예상 수령액이 얼마나 될까. 이에 국민연금 수령나이 및 시기에 대해 확실하게 살펴보자.
국가가 운영하는 국민연금, 수령기간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국민연금은 소득이 있을 때 꾸준히 납부했던 국민연금 보험료를 기반으로 향후에 노후 자금을 마련할 수 없는 경우 매달마다 지급받는 국민연금으로 금전적으로 지원해주면서 국민들의 노후 자금을 마련해주는 제도이다. 이 국민연금은 현재, 국내 거주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은 모두 가입 가능하며, 가입해야 한다. 단, 회사에 다닐 경우 사업장가입자로 적용되어 국민연금에 자동 가입된다. 이에 만 60세까지 국민연금 보험료를 10년 이상 꾸준히 납부할 경우 보통 만 65세부터 죽을 때까지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국민연금을 원활히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120개월, 즉 10년 넘게 납부해야 한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긴 기간동안 납부하게 되면 수령하는 연금액은 높아진다. 따라서 65세까지 계속 연금을 내면 추후 더 많은 국민연금을 손에 쥘 수 있다.
노후 생활 보장하는 국민연금 '받는 시기'는?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연령은 가입자의 출생연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1952년생 이전은 만 60세가 넘어야 수령할 수 있고, 반대로 69년생 이후라면 만 65세가 넘을 경우에 연금 수령이 가능하다. 이때, 만약 당장의 소득이 없어 금전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면 국민연금 수령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10년 넘게 꾸준히 납부하고 있고 조기에 퇴직하면서 현재 소득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연금 받는 시기를 최대 5년까지 앞당길 수 있다. 그러나,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면 1년 앞당길 때마다 연금 수령액이 연 6%씩 줄어든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이와 다르게, 국민연금을 늦춰서 받을 경우 수령액은 더 증가하게 된다.
국민연금 수령액, 어디서 '조회'할까?
국민연금 납부액 및 예상 수령액을 자세히 알고자 한다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접속해야 한다. 홈페이지 상단 가운데에 있는 '내 연금(노후준비)'을 클릭한 후 내 연금 알아보기에서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연금급여 청구 ▲납부액 조회 ▲예상 수령액 조회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바로 확인 가능하다. 만약, 공인인증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예상연금의 모의계산과 예상연금의 간단조회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니 참고하면 좋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