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년간 몸캠피싱의 누적피해자는 총3만 1000여명에 이른다. 피해자들은 타인에게 알리기 꺼려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피해자는 알려진 것에 비해 더욱 많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피해자 중 절반이 청소년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청소년 피해자가 생겨나고 있음에도 관계부처나 교육현장에서는 실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월에 이르러서야 서울시 임시회 본회의에서 몸캠피싱이 안건으로 올라 교육당국 차원에서 엄중한 실태 파악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교육이 급선무라는 지적이 제기되었을 정도다.
몸캠피싱의 수법은 타인의 사진을 도용해 음란채팅, 조건만남, 영상통화 등을 빌미로 성적인 호기심을 자극하며 접근한다. 이후 음란행위를 유도한 뒤 해당 영상을 녹화하며 소리가 안 들린다는 등의 핑계를 대며 피해자의 휴대전화를 해킹할 수 있는 파일(apk, zip, rar)을 전송한다. 해당 파일을 열람할 경우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가 협박범들에게 전송된다.
녹화한 영상과 탈취한 연락처를 토대로 금품요구를 실시하게 되며, 협박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돈을 요구해 피해자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원하는 요구를 들어줘도 종국에는 유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몸캠피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조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몸캠피싱 협박범들은 주로 SNS, 랜덤채팅, 오픈채팅 등에서 협박대상을 물색하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만약 몸캠피씽을 당하게 되어 협박을 받게 될 경우에는 신속하게 보안 전문업체를 통해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가운데 모바일 보안 전문 기업 Secure App(시큐어앱)이 24시간 상담센터를 구축하고 피싱 범죄에 적극적 대응을 펼치고 있다. Secure App의 보안팀은 IT 전문가들로 구성돼 시간대별로 충분한 인원이 배치돼 있으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유포 차단 솔루션과 24시간 실시간 대응서비스 등 1:1 맞춤형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Secure App’ 관계자는 “협박범들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돈을 요구하기 때문에 때문에 이에 응하기보다는 즉시 전문업체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신속하게 악성코드 삭제와 동영상 유포를 차단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금전적인 피해, 동영상 유포에 대한 피해 두 가지 모두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특히나 청소년들의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르고 성숙한 대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유포 협박, 몸캠피싱 등의 범죄에 노출되었다면 주저하지 말고 빠르게 상담소를 이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Secure App은 현재 몸캠피싱에 당한 피해자들을 신속하게 구제하기 위한 365일 24시간 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