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LG전자는 조주완 CEO가 최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짐 켈러 텐스토렌트 CEO를 만나 전략적 협업을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텐스토렌트는 개방형·저전력 반도체 설계자산(IP)인 RISC-V CPU와 AI 알고리즘 구동에 특화된 IP인 Tensix NPU를 활용해 고성능 컴퓨팅(HPC) 반도체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조주완 LG전자 CEO(왼쪽)와 짐 켈러 텐스토렌트 CEO. [사진=LG전자] |
이날 양 사는 각자 보유 중인 반도체 IP와 여러 기술을 활용해 AI가전부터 스마트홈, 모빌리티, 영상 관련 서버용 프로세서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시너지 창출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했다. 또 인턴십 프로그램을 설립해 우수 인재 육성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LG전자는 AI 관련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 기술을 지속 고도화해 생성형 AI 기반의 제품과 플랫폼,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이와 연계한 AI 반도체를 개발해 온디바이스AI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조주완 CEO는 “텐스토렌트가 보유한 AI 역량과 리스크파이브 기술은 업계 최고 수준이다”라며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고객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공감지능을 구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LG전자는 SoC(시스템 온 칩)센터를 주축으로 제품과 서비스에 특화된 시스템반도체 설계 역량을 핵심 기술로 집중 육성하고, 올레드TV 전용 반도체 ‘알파11 AI 프로세서’와 가전 전용 반도체 ‘DQ-C’ 등 AI 반도체 개발 역량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