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에이전트&의심번호 알림서비스’ 개발

이지희 / 2024-10-08 12:12:44

[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KT는 AI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종합탐지기술인 ‘보이스피싱 탐지 AI 에이전트’와 ‘AI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알림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보이스피싱 탐지 AI 에이전트는 통화 음성을 실시간으로 텍스트로 바꾸고, 이를 AI sLM(소형언어모델)이 금융사기와 연관된 문맥을 신속히 탐지하는 기술로,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정황이 발견하면 즉시 고객에게 알려준다.
 

 KT가 ‘보이스피싱 탐지 AI 에이전트’와 ‘AI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알림 서비스’를 개발했다. [사진=KT]

기존 보이스피싱 탐지 방식은 키워드나 패턴을 검색하는 데 그쳐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 반면 이 기술은 신분증·비밀번호·금전 요구 등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입체적으로 확인한다. 또 개인정보보호 측면에서도 분석 데이터를 외부로 보내지 않는 온디바이스 방식으로 작동해 정보 유출 우려를 사전 차단했다.

앞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보이스피싱 탐지 AI 에이전트 개발을 위해 KT 측에 보이스피싱 스크립트를 익명 처리한 데이터를 제공했고, KT는 이를 활용해 음성인식 기술과 AI sLM을 최적화했다. KT는 향후 국과수와 지속 협력해 보이스피싱 탐지를 위한 AI 기술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보이스피싱 탐지 AI 에이전트는 현재 KT 사내 전문가들에게 베타 서비스 중으로, 이달 중 스팸 차단 앱 ‘후후’에 탑재돼 공식 출시된다.

AI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알림 서비스는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번호를 AI 모델로 사전 탐지해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술로, 경찰청이 제공한 보이스피싱 연루 전화번호의 특징을 ‘AI 분류 모델’로 학습해 피싱이 의심되는 번호를 탐지한다.

만약 의심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면 고객이 받기 전 주의 문구와 함께 경고 동영상이 재생되고, 이미 전화를 수신했다면 안내 전화를 통해 한 번 더 알려준다. 또 고객이 의심 번호로 전화를 걸 때도 동일한 방식으로 안내한다.

이 서비스는 현재 테스트 중으로, 향후 KT 고객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 형태로 출시될 예정이다.

윤경아 KT AI Tech Lab 상무는 “보이스피싱 탐지 AI 에이전트는 고객의 통화 안전을 위한 KT의 끊임없는 혁신과 노력을 반영한 결과다”라며 “앞으로 보이스피싱 범죄자의 목소리와 딥보이스를 악용한 지인 사칭까지도 탐지할 수 있는 화자인식 기술을 개발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지난 7월부터 수사기관 협조 하에 보이스피싱 범죄에 사용되는 번호를 실시간으로 차단하는 ‘긴급 망 차단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