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유발 질환으로 증상 초기 적극적 관리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중장년층에게 '무릎 통증'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다. 이때 통증이 심하지 않다고 가볍게 여겼다가 병을 키우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무릎 관절이 뻣뻣하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악화된다면 무릎 퇴행성 관절염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 이 질환은 무릎 관절의 연골이 점차 닳으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증상 초기에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
△사진=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 연골의 손상이 시작되는 무릎 퇴행성 관절염 초기의 환자는 물리치료 및 주사 요법 등의 비수술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BMAC) 치료도 적용이 가능하다.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하는 것으로, 주사 치료만으로 무릎 연골 조직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마취나 피부 절개 없이 진행되어 환자가 느끼는 부담이 적고, 치료 시간도 매우 짧은 편이며, 환자 본인의 골수를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부 반응에 대한 걱정도 크게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 연골의 손상이 심한 편이라면 카티스템 줄기세포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카티스템은 무릎 연골 결손 치료제로서, 동종 제대혈유래 중간엽 줄기세포가 주성분이다. 줄기세포 수술은 골연골의 병변 부위에 인위적으로 구멍을 여러 개 뚫은 후 카티스템을 주입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골연골 재생 및 통증 개선 등의 근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술 후 최소 1년 이후에는 손상되었던 무릎 연골 부위에 많은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무릎 연골의 대부분이 손실되고 뼈조직까지 손상된 무릎 퇴행성 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인공관절 삽입 수술이 불가피할 수 있다. 무릎 인공관절 삽입 수술은 뼈 끝에 남아있는 연골을 모두 제거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무릎 상태에 따라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만 대체하거나 전체를 대체할 수 있다”고 전했다.
무릎 연골에 손상이 생기면 무릎에 시큰거리는 통증이 나타나고, 무릎 관절이 뻣뻣해지거나 부어오르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니 무릎에 이상 증세가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