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들어 스스로 인테리어를 하려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여러 연령층 중에서도 20~30대의 젊은 연령대에서는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바꾼 집의 사진을 SNS에 자랑하는 것이 인기를 끌며 퍼지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집안의 벽지나 바닥의 장판, 주방 및 화장실의 타일을 교체하는 셀프 인테리어는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가 아니라면 초보자로서는 도전할 수 없는 작업이다. 하지만 누구나 언제든지 도전해 볼 수 있는 인테리어도 있다. 그것은 다양한 가구를 재배치해 방이나 집을 바꿔 새롭게 꾸미는 것이다. 사용하던 가구를 새로운 가구로 교체하는 것이 아무나 하기 어려운 바닥재의 교체나 벽지를 바꾸는 것보다 쉽기 때문이다. 인테리어 가구로 혼자 하는 인테리어에 처음으로 도전하는 사람들을 위한 나에게 맞는 가구 고르는 방법을 알아보자.
가구 컨셉
익숙해진 방이나 집의 분위기를 새롭게 바꾸기 위해 기존 가구와 다른 가구를 구입하려면 우선 가구의 배치부터 공간 구성 등 구체적인 계획, 즉 콘셉트를 정하는 것이 좋다. 집이나 방의 콘셉트가 결정되어 있어야 인테리어에 필요한 가구와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테리어를 위한 가구 콘셉트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집이나 방의 벽지나 장판의 색을 생각해서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테리어 가구와 벽지가 어울려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테리어 가구의 컬러와 장판, 벽지의 색이 심하게 차이나지 않아야 한다.
가구 구입 목록을 작성해야 하는 이유?
가구를 구입하려면 큰 돈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쓸데없는 지출을 줄여야 한다. 가구의 스타일과 실용성, 크기, 색상 등을 고려해서 가구를 구입해야 한다. 특히 아무리 인테리어를 위한 가구라 하더라도 디자인만 예쁘고 쓸모가 없다면 사는 것을 제고해야 한다. 실제로 쓸 수 없는 인테리어 가구는 그저 짐일 뿐이다. 이런 상황을 발생 전에 막기 위해서는 가구를 구입하기 전에 가구 목록을 작성해 꼭 필요한 가구만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가구 목록을 미리 작성해 놓으면 필요 없은 구매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야하는 가구를 구입하지 못하는 실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인테리어 가구 구입 예산
구입해야 하는 가구를 선정했다면 가구를 구매할 때 필요한 돈을 정해야 한다. 인테리어 가구의 값은 가구의 디자인과 크기, 재료, 가구 브랜드와 가구를 만든 디자이너의 인지도 배달 및 설치 여부, AS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큰 차이가 있다. 그런 이유로 쓸 수 있는 자금 내에서 가구 구입 예산을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충분한 가격 정보를 알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요즘에는 가구 브랜드들의 홈페이지 등 온라인에서 가격, 재질, 크기, AS여부 등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주변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을 갈 수 있다면 직접 방문해 가구를 체크해봐도 된다. 둘러볼 시간이 없다면 다양한 가구 브랜드가 모여있는 가구단지를 둘러보는 것도 추천한다. 가구단지에서는 많은 가구 매장의 여러가지 가구들을 많은 시간을 소모하지 않더라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집의 면적과 구조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만약 새로 산 가구가 집과 방의 구조나 크기에 어울리지 않아 어색하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과도하게 큰 가구는 집을 좁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집의 구조와 부조화를 이루는 가구는 쓸 수 없는 집이나 방의 공간을 만들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구를 사기 전에 집과 방의 크기와 창, 문, 콘센트의 위치, 동선 등을 꼭 살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집이나 방의 평면도를 가지고 미리 인테리어 가구의 위치를 정해보는 것도 좋다.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활용하기
집이나 방의 분위기를 바꾸기 위한 인테리어 가구를 구매하기가 부담이 된다면 큰 비용이 들지 않는 조그만 소품을 교체해도 충분히 집이나 방의 분위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소품을 활용하는 것은 가성비가 높은 것에 비해 큰 변화를 일으킨다. 활용 가능한 가격 대비 활용도가 높은 소품들은 작은 선반이나 무드등을 비롯해 의자, 화병, 캔들 공기정화식물, 액자, 시계 등 여러 제품들이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