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야근으로 스트레스가 많이 쌓이는 현대인들은 ‘고혈압’이 쉽게 찾아올 수 있다.
흔히 고혈압은 중·노년층만의 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최근 30·40대의 '젊은 고혈압' 환자가 많아지고 있어 나이와 아무런 상관없이 고혈압 예방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라 쉽게 방치되어 병의 증세가 점점 심화되기 때문에 '조용한 암살자'라는 수식어가 붙기도 한다.
때문에 혈압 수치가 높은 사람이라면 생활습관 개선 및 자신의 혈압에 주의를 기울여 혈압 정상수치로 낮추는 법을 익혀 습관화해야 한다.
이에 심각한 후유증 남기는 고혈압에 대해 제대로 살펴보자.
고혈압, '남녀노소 누구나 위험해'고혈압은 피가 혈관 벽을 너무 세게 미는 것을 의미하는데, 진단 기준이 수축기 혈압이 13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80mmHg 이상일 때다.
최근에는 30~5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대 사람들이 고혈압의 원인 요소인 ▲나트륨 과다 섭취 ▲스트레스 ▲음주 ▲흡연 등에 습관화되면서 고혈압 발병이 증가했다.
그러나 젊은 사람들의 경우 이 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심각함을 깨닫지 못하고 방심하게 된다.
이 경우 고혈압이 합병증을 만들게되고, 2차성 고혈압이 나타나 갑상선기능저하증, 신경질환 등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나이가 어리다고 절대 방심하거나 안심해선 안된다.
따라서, 가족인원 중에 고혈압 환자가 있거나 흡연, 비만 등의 위험인자를 가진다면 질병의 인지도를 높여 더욱 철저히 관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초기 관리가 중요한 '고혈압 증상'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예외로 개인에 따라 고혈압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으로 인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어지럼증, 만성 피로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고혈압이 급성 중증 합병증을 일으키면 뇌경색, 뇌출혈, 심근경색으로 사망하게 될 수 있다.
생활에서 따라할 수 있는 '고혈압 예방하는 법'고혈압을 예방하려면 고혈압 위험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흡연은 동맥경화를 잘 일으켜 고혈압을 유발하기 때문에 금연하는 습관은 필수이다.
또한, 음주는 혈압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과도한 음주는 피해야 한다.
아울러, 스트레스 또한 고혈압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를 해소시켜줄 수 있는 취미활동이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도 고혈압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 밖에도 표준 체중을 유지하는 것과 나트륨 함량이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등의 균형있는 식습관을 갖는 것도 고혈압 예방에 큰 효과가 있다.
.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