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리의 세계는 매우 넓다. 음식 먹는 것에 관심이 있다면 '3대 진미'에 관해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3대 진미는 서양에서 제일 좋다고 취급받는 음식재료들을 뜻을 가지고 있다. 이에는 트러플과 푸아그라, 캐비어가 속한다. 가격이 높은 편이고 소문이 높아 궁금할 만 하다. 하지만 이 중에는 문제가 되는 부분도 있다. 평소 접하기 쉽지 않은 ‘세계 3대 진미’ 트러플, 푸아그라, 캐비어에 대해 제대로 살펴보자.
희소성 높은 송로버섯(트러플)
트러플(송로버섯)은 요근래 국내에서 주목을 이끌어내는 재료다. 인기 프로그램에서 트러플 오일을 활용한 모습이 방영돼 주목을 이끌었다. 트러플과 송로버섯은 같은 말로, 떡갈나무숲 아래에서 자라 '땅 속의 다이아몬드'라 불린다. 송로버섯(트러플)이 귀한 식재료로 여겨지는 것은 인공재배가 되지 않기 때문에 희귀함을 시인되는 것이다. 송로버섯의 종류는 서른 개의 종을 넘어서는데 그 중에서 백트러플이 제일 진귀하게 인정된다. 트러플 섭취방법은 요리에 트러플 향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대부분 먹는다.
푸아그라 '특이한 식감을 가져'
푸아그라는 불어다. 간을 뜻하는 ‘푸아’와 살이 가득한 모습의 '그라'를 조합한 것이다. 푸아그라는 대개 거위 혹은 오리를 쓰는 경우가 많다. 푸아그라는 입에서 녹는 식감을 가져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요즘 들어 푸아그라를 만드는 과정이 유명해지며 문제가 제시되고 있다. 푸아그라 만드는 과정은 동물의 간을 크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오리나 거위가 간신히 들어가 움직일 수 없는 우리 안에 가둬 움직임을 작게 한다. 거기다 목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 튜브를 투입해 강압적으로 사료를 준다. 이러한 잔혹한 과정을 거치는 곳이 있어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