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석 원장“매복 사랑니 방치하면 잇몸 염증 유발"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사랑니는 공간 부족으로 모양이 변형돼 자라는 게 특징이다. 어떤 경우는 누워서 자라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경우는 반듯하게 자라는 경우도 있다. 간혹 사랑니가 잇몸 위로 반만 자라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위생 관리에 있어 신경을 써야 한다.
비스듬히 자랄 경우 위생 관리가 어렵고 음식물이 끼어 충치, 치주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발
![]() |
△사진=로이스치과의원 강릉점 이인석 대표원장 |
로이스치과의원 강릉점 이인석 대표원장은 “특히 잇몸 위에 반만 자란 사랑니의 경우 잇몸을 절개하고 치아를 쪼개 꺼내야 하는데 매복된 사랑니가 신경 뿌리에 닿아 있다면 발치가 까다로워 진다. 잘못하면 신경 손상과 감각 이상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혹 사랑니 발치를 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는 것으로 연명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물론 도움이 되지만 사랑니가 오래도록 자리하게 될 경우 물혹과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혹이 커지게 되면 주변 조직에 압력을 가하거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턱관절에 비정상적인 압력을 주기 때문에 사랑니로 인한 턱관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랑니 상태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과 상담이 중요한데 치과 의사와 상담해 최선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사랑니가 반만 자란 경우에는 스케일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데 주변의 염증이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 검사 후 치과 의사의 판단에 따라 발치 계획을 수립하는 게 좋다.
이인석 원장은 “매복 사랑니는 방치하면 잇몸 염증을 유발하고 주변 치아에 맞닿아 충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발치 경험이 풍부하고 정밀 검사 및 수술에 필요한 장비를 갖춘 치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