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별 맞춤 치료 수립해야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임플란트를 하고 난 이후 턱관절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 이유는 턱관절이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서이다. 임플란트 치료 시에 간혹 치아의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제대로 조율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부정교합이 생기고 턱관절이 비정상적으로 틀어져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치아의 경우 윗니와 아랫니가 맞지 않으면 시린 느낌, 통증뿐만 아니라 두통까지 유발할 수 있
![]() |
△사진=로이스제일치과의원 마산 서원교 대표원장 |
그렇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하고 난 이후에는 교합을 잘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로이스제일치과의원 마산점 서원교 대표원장은 “식립 이후에는 교합이 낮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교합이 낮아지는 경우도 있어 주기적으로 치과를 찾아 치아를 좀 더 조절하거나 새로 만들어서 씹는 높이를 맞춰줘야 한다. 간혹 임플란트 치아가 깨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저작력이 좁은 부위에 몰리기 때문에 과도하게 씹을 경우, 치아가 잘못된 위치에 있는 경우, 디자인이 잘못된 경우에 깨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플란트 식립 후에는 자연치아와 임플란트 사이의 공간이 적당한 힘으로 서로 지지해주어야 하는데 이 지지가 약해지면 임플란트와 자연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게 된다. 물론 치아의 형태가 맞지 않아도 주위에 음식물이 많이 끼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보철 제작 과정에서 꼼꼼히 진행해야 하며 음식물이 끼는 문제가 발생한다면 빨리 치과를 찾아 보철물을 보강해주어야 한다. 이 과정을 귀찮게 생각해 소홀히 관리한다면 결국 임플란트 주변에 염증이 생겨 심할 경우 인공치아를 빼고 다시 재식립하게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전했다.
서원교 원장은 “임플란트는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자, 면역력 저하 등의 변수가 많은만큼 치료 시에도 주의할 부분이 많다. 개인별 맞춤 치료를 수립해야 하며 시술 후에도 철저한 사후관리 시스템이 갖춰진 치과를 선택해야 한다”고 전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