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필요한 경우 감염되거나 손상된 신경 제거해야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충치의 정식 명칭은 ‘치아우식증’, 입안에 있는 세균이 당분을 분해하면서 생성되는 산에 의해 치아가 녹는 질환으로 치아 내 퍼진 범위에 따라 심각도를 분류한다. 치아우식증은 자가회복이 안 되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 칫솔질을 제대로 해주어야 하는데 이미 생긴 이후라면 다양한 보존치료로 자연치아를 살려야 한다.
보존치료는 치아를 최대한 보존하고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이다. 만약 충치가 생겼다면
![]() |
△사진= 제일플란트치과의원 수원점 김광 대표원장 |
제일플란트치과의원 수원점 김광 대표원장은 “치아가 심하게 손상되었거나 큰 충치가 있는 경우라면 크라운을 제작해 치아를 보호하고 기능을 회복할 수도 있는데 적절한 시기에 근관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염증이 번져 통증이 심해지고 심할 경우 농양이 생겨 골질환이 생길 수도 있다. 최근에는 접착제와 재료의 발달로 보존치료의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높은 심미성으로 적용 범위도 커지고 있다. 이처럼 자연치아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방법이 있음에도 방치하게 될 경우 결국 치아 상실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때는 상실한 치아를 대체하는 임플란트 치료가 고려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기능과 외관을 제공하며 미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주변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턱뼈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런 임플란트도 적절한 관리가 뒷받침될 때 오랜기간 제대로 사용할 수 있어 식립 후 구강위생을 철저히 지켜주어야 한다”고 전했다.
김광 원장은 "임플란트는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치료법이지만 자연치아를 완벽히 대체할 수 없다. 자연치아를 유지할 수 없을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임플란트를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자연치아를 아끼는 것이 가장 좋은 건강 관리라며 강조한다. 스스로 매일 매일 관리하는 게 어렵다면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통해 충치, 치주염과 같은 치과질환을 예방하는 게 좋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