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범 원장,“무릎관절염 초기 통증이 가벼운 경우 많아"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무릎관절염’은 주로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여겨지지만 30~40대의 젊은 환자들도 적지 않은 편이다. 젊은 층에서는 무릎 부상이나 무릎 관절의 과사용이 무릎관절염의 주요 발병 원인이 된다.
허벅지뼈와 정강이뼈가 맞닿아 있는 무릎 관절은 여러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무릎뼈 끝
![]() |
△사진=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관절염 초기에는 통증이 가벼운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환자들이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치료를 미루고는 한다. 그렇지만 무릎관절염은 스스로 호전되지 않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골연골의 손상이 점차 악화되므로 질환 초기에서의 치료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질환 초기에는 약물 복용 및 물리치료, 주사 요법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무릎 관절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무리한 운동이나 과도한 활동을 피하고, 무릎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생활 환경을 조절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골연골의 손상이 심한 편인 무릎관절염 중기나 말기의 환자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카티스템 수술이 고려된다. 줄기세포 카티스템 수술은 조직의 손상 부위에 여러 개의 미세한 구멍을 뚫고, 그 안에 약물을 주입하여 조직의 재생을 유도한다. 무릎뼈에도 손상이 생긴 무릎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무릎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무릎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 무릎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지속되는 경우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특히, 무릎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자주 하거나 과거에 무릎 부상을 경험한 경우에는 더욱 철저한 관리와 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전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