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in] 공기업 입찰의 그늘…한국남동발전 우드펠릿 계약 앞두고 ‘특정업체 밀어주기’ 논란

이정우 기자 / 2025-08-18 16:11:27
-“발표도 나기 전 낙찰자 소문”... 수십억 세금, 불투명 계약 구조에 공정성 붕괴 우려
-“낙찰자 이미 정해졌다”는 소문 … 공정 경쟁 원천 봉쇄

[하비엔뉴스 = 이정우 기자]  한국남동발전()(사장 강기윤)이 최근 진행한 우드펠릿 수입 계약을 둘러싸고 업계 안팎에서 특정업체 밀어주기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수년간 이어져온 입찰 방식이 최근 갑작스러운 변경으로 기존 다수의 참여업체가 배제됐고, 그 빈자리를 사실상 한 업체가 독식하는 형태가 굳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제보에 따르면, 한국남동발전은 올해 우드펠릿 수입 계약에서 공동수급체 실적 기준 상향 조정(합산실적->대표사 단독 실적) 조정이라는 새로운 조건을 삽입해 기존 15개 이상의 업체들이 참여 자격을 상실했다고 주장했다. 더구나 계약 기간도 그간의 1년 단위에서 2년 단위로 연장됐다는 주장도 함께했다. 이같은 제보내용과 관련해 업계 관계자들은 왜 갑자기 기준을 바꿔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만들었는지 납득할 수 없다공기업이 앞장서서 경쟁을 제한하고 있다는 불만스러움을 표하기도 했다.

 

더욱 큰 문제는 입찰 절차가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낙찰 대상자가 이미 정해졌다는 소문과 문건이 업계 전반에 퍼졌다는 점이다. 실제로 <본지>에서 입수한 대표적인 입찰 참가 예상 업체와 주요 낙찰업체의 문건은 다음과 같다.

 

S***** 업계에서는 사실상 이번 입찰의 낙찰 예정 업체로 지목 ***입찰 성립을 위한 들러리 업체라는 의혹 등으로 업계 한 관계자는 계약 발표도 나지 않았는데 특정 회사의 이름이 낙찰자로 돌고 있다이 정도면 이미 짬짜미가 끝난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번 사안의 핵심은 공정 경쟁의 기회 박탈이다. 우드펠릿을 공급하는 업체들은 전국적으로 약20여 곳에 이른다. 그러나 이번 계약 조건 변화로 인해 15개사 이상이 사실상 참여할 수 없게 됐다.

 

결과적으로 한두 업체만이 경쟁하는 형식적 입찰이 이뤄지면서, 공정 입찰 원칙이 붕괴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수년간 다수 업체가 경쟁하며 가격 안정이 유지돼 왔는데, 이번처럼 특정 회사 중심으로 구조가 짜이면 조만간 가격이 급등할 수밖에 없다이는 곧 국민 세금으로 충당되는 전력 구매비 증가로 이어진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또 눈길을 끄는 대목은 인사 변화와 계약 방식 변화가 맞물려 있다는 점이다. 한국남동발전은 최근 수입 계약 담당 차장급 실무자가 교체됐다. 그 직후, 수년간 이어져 온 계약 방식이 전면적으로 바뀐 것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해 정치적 배경을 지적한다. 현재 한국남동발전 사장은 강기훈 전 국민의힘 3선 국회의원이다.

 

정계 출신 인사가 기관장이 된 이후, 공기업 계약 방식이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바뀌었다는 의혹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의혹이 퍼지는 상황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사장이 국회의원 출신이다 보니 업체들이 감히 문제를 크게 제기하지 못하는 분위기라며 공기업이 공정과 투명성을 훼손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우드펠릿은 한국남동발전이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RPS) 달성을 위해 꾸준히 수입해 온 자원으로 매년 수백억 원 규모의 계약이 이뤄지며 이는 모두 국민 세금과 전기요금으로 충당된다.

 

이번처럼 특정 업체 밀어주기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이는 단순히 입찰 불공정 문제를 넘어 국민 세금 낭비로 직결된다. 경쟁이 사라진 입찰은 필연적으로 구매단가 상승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혹여 공기업이 특정 업체와 짬짜미를 통해 계약을 밀어붙이는 것은 전형적인 세금 낭비 구조라며 의혹을 털어내기 위해 철저한 조사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논란은 단순히 이번 계약에 그치지 않고, 한국남동발전이라는 기관 전체에 대한 신뢰를 흔들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일을 계기로 한국남동발전과 거래 자체를 꺼리는 분위기라며 공기업이 불신의 중심에 서는 것은 국가 에너지 정책에도 악영향을 끼친다고 우려했다.

 

 △사진=강기윤 사장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우리 같은 중소기업은 그동안 공기업과 거래를 통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유지해 왔는데, 이렇게 특정 대기업만 챙기면 결국 시장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이어 제보자는 이번 사태를 두고 발표도 하기 전에 낙찰자가 정해져 있다는 건 웃지 못할 코미디라며 이 정도라면 불법적 짬짜미 계약이 의심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한국남동발전이 전력공기업으로서 국민 세금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만큼, 이번 계약 과정 전반을 감사원과 국회가 반드시 들여다봐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남동발전 우드펠릿 계약 논란은 단순한 업계 잡음이 아니다. 이는 공기업 계약의 투명성과 공정성이라는 근본 문제를 정면으로 드러낸 사건이다. 특정 업체 밀어주기 의혹이 사실이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온다.

 

입찰 공정성이 무너진 자리에 불신이 자리 잡는다면, 공기업은 더 이상 공기업으로서의 존재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이번 사안을 철저히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법적 책임까지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정부와 국회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기업 입찰 제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며 공정 경쟁이라는 민주사회의 기본 원칙이 한국남동발전이라는 공기업 안에서도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이번 사안을 지켜보고 있는 다수의 시민단체들은 한목소리로 입을 모았다.

 

한편, 한국남동발전 측은 우드팰릿 업체 선정을 하루 앞둔 18일 이미 낙찰자 명단 사전 유출(?) 의혹과 관련해 S***** 의 낙찰자 선정은 사실과 다르고 납품 업체와의 짬짜미(?) 의혹 또한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본지>에 알려왔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