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 파열 후 가벼운 염좌로 오인하는 경우 적지 않다?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우리 주변에서 운동 중 흔히 발생하는 부상 중에 무릎인대파열이 있다. 무릎인대는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해 주는 강한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무릎인대는 대표적으로 전방십자인대, 후방십자인대, 내측 측부인대, 외측 측부인대 이렇게 크게 4종류로 나뉘는데, 이들 중에서 전방십자인대의 손상률이 가장 높
![]() |
△사진=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스포츠 활동 중 전속력으로 달리다가 급작스럽게 진행 방향을 바꾸거나 점프 후 착지가 불안정할 때, 다리가 크게 비틀어질 때 등 여러 상황에서 전방십자인대에 파열이 생길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순간에는 무릎에서 ‘뚝’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무릎에 통증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파열 당시에는 통증으로 걷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통증이 금방 완화되기도 하여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가벼운 염좌로 오인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이학적 검사 및 MRI 촬영을 통해 확진할 수 있으며, 조직의 파열 양상 및 환자의 연령, 활동량, 직업 등에 따라 치료 방식을 각각 적용하게 된다”고 전했다.
조직의 파열이 경미하고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도 큰 문제가 없다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한다. 그렇지만 전방십자인대 조직의 많은 부분이 파열되었거나 조직이 완전히 끊어졌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 파열 수술은 파열된 인대 대신에 자가건 또는 타가건을 이식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수술은 관절내시경으로 진행하므로 피부 절개가 비교적 적고 회복도 빠른 편이다. 전방십자인대 수술 후에는 이식한 인대가 안정되도록 일정 기간 보조기를 착용하고 목발을 사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또한, 3~6개월간의 지속적인 재활을 통해 무릎 통증을 감소시키고 무릎 관절 가동 범위와 근력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활은 환자의 회복 정도 및 무릎 구조물의 동반 손상 여부에 따라 달라지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른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