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나이 탓 치부보다 정확한 진단 치료 통해 눈의 부담 줄이는 것 필요
중장년층 인구가 증가하고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40대 이후 누구나 겪게 되는 대표적인 시력 변화인 노안은 단순한 노화 현상으로 여겨지기 쉽지만,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어 조기 대응이 중요하다.
노안은 나이가 들면서 눈 속 수정체의 탄력이 점차 감소하고, 이를 조절하는 근육의 기능도 떨
![]() |
△사진=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대표원장 |
굴절 이상과 달리 누구나 겪는 생리적인 변화이지만, 증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불편함을 참고 넘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이 많은 현대 사회에서는 노안 발생 연령이 더 앞당겨지는 추세다.
실제로 40대 초반부터 노안 초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단순히 나이 탓으로 치부하기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눈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대표원장은 “진단은 단순한 시력 검사만으로는 부족하다. 정밀 굴절 검사, 조절력 검사, 각막 두께 측정, 망막 및 시신경 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시행해야 정확한 노안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백내장이나 녹내장과 같은 다른 안과 질환과의 감별도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노안과 백내장은 같은 시기에 함께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노안만 따로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진료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 방법은 환자의 나이, 직업, 생활 습관, 눈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돋보기 안경이나 다초점 안경, 콘택트렌즈 착용이 있으며, 최근에는 수술적 치료를 선택하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백내장을 동반한 노안의 경우,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수술을 통해 근거리와 원거리 시력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고전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