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통 민들레는 길가에서 볼 수 있는 들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민들레는 해독 작용에 좋다. 동의보감을 보면 민들레의 다른 이름은 '포공영'이었고 면역력을 키워주고 체기를 내리는 데 뛰어난 효능이 있다고 기록한 바 있다. 현대 사회에 와서 노폐물 제거가 재조명받으면서 간암 초기증상 예방법으로 사랑받는 중이다. 민들레의 효능 및 여러가지 민들레 요리를 통해 민들레 먹는법을 알아보자.
민들레 효능
민들레의 실리마린은 간 기능을 향상시키고 간 세포의 재생을 도와준다. 민들레의 실리마린은 잎과 줄기에 제일 많이 있으며 뿌리도 많이 들어있다. 또 민들레에 있는 콜린은 지방간을 막아주고 담즙을 분비함으로 인해 소화와 지방분해를 촉진한다. 이에 민들레를 먹으면 안색이 누렇게 변하는 황달 완화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민들레만 섭취하면 효과적이지 않으며 여러가지 한약재들과 섞는 것이 좋다. 또 황달 초기를 예방할 수 있지만 간 수치가 계속 높을 경우 전문의와 먼저 상담하고 섭취해야 한다. 민들레 속에는 식이섬유인 이눌린 성분이 풍부해 혈당 강화에도 좋다. 또 소염작용을 통해 식도염을 예방할 수 있다.
민들레 분말 먹을 때 조심
흔히 민들레를 꽃잎이나 줄기를 건조해서 차처럼 우려먹는다. 또한 민들레 효능이 재조명되면서 민들레뿌리차가 인기가 많아졌다. 하지만 민들레는 여러 가지 요리를 해서 섭취할 수 있다. 우선 민들레의 잎을 양념장과 잘 섞어서 민들레 나물을 만들 수 있다. 민들레잎은 국을 끓여서 먹기도 하고 장아찌를 담가먹기도 한다. 여러 가지 김치가 등장하면서 민들레 생잎으로 김치를 담가서 먹기도 한다. 혹시 민들레를 오랫동안 먹고 싶을 경우 민들레로 담금주를 만들 수 있다. 민들레 꽃과 뿌리를 넣은 다음 소주를 붓고 한 달 기다리면 민들레 담금주가 만들어진다. 민들레술을 담글 때 꿀을 추가해주면 민들레술만의 독특한 향과 맛을 낼 수 있다. 한편 민들레 가루도 시중에 있지만 쓴 맛이 강하기 때문에 꿀을 넣어 먹는 것이 좋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