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은 자기가 간 관련 질병과는 거리가 멀다고 착각한다.
이유는 간질환에 걸리는 이유가 알코올 섭취로만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알고 있는 사실과 달리 대한간암학회 발표에 따르면 간암에 걸린 환자 중 72%는 B형간염 바이러스, 나머지는 C형간염이 차지했다.
정작 술이 원인인 것은 9%밖에 차지하지 않았다.이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과거 1990년대 부터 예방접종사업이 활발해 지면서 B형간염에 걸린 사람들은 없어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C형 간염의 감염자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런이유로 의료인들은 술자리를 즐기지 않는 사람이라도 평소 건강 검진을 받아서 지방간이나 간염 등을 관리하라고 전한다.
C형 간염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거나 연령과 관계없이 간경변증을 지니는 사람이라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커서 더 주의해야한다.간염은 주로 원인이 알코올에 있다고 알고 있는 자들이 많다.
그래서 C형 간염도 이유가 술일 것이라고 여기기 쉽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C형 간염은 오염된 혈액과 같은 각종 체액으로 생긴다.
이런 이유로 손톱깎이나 면도기 등 일상생활 뿐 아니라 병원 치료 등을 통해서도 감염될 위험도 있다.
앞서 지난 2015년에는 서울의 한 병원에서 주사기를 재활용해 주사를 맞은 환자들이 집단으로 C형 간염에 걸렸다.
그리고 수혈 또는 성관계, 의약품에 혈액을 이용하거나, 주사바늘의 재활용, 이렇게 재사용된 침으로 한 피어싱이나 문신 등에서 생길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을 통해 C형 간염의 바이러스가 혈액 속으로 침입하게 되면 보통 바이러스는 간세포 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몸 속에서는 바이러스를 없애기 위해 면역 반응을 생기게 하며 이때 간세포에 상처가 가면서 간에 염증이 일어난다.C형간염의 주요 증상은 전신피로감, 근육통, 미열, 콧물이나 기침 등 그냥 보기엔 가벼운 감기증상과 같다.
이때문에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다만 간염이 일정기간 진행됐다면 일부 환자는 전신 자각증상과 같이 소변이 마치 콜라와 같은 진한 색깔을 보일 때가 있다.
아울러 쉽게 피로해질 수 있으며 식욕이 떨어지고 구역질이 날 수 있다.
간염증상이 심할 땐 눈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나기도 하며 더 심각할 땐 사망할 수 있다.
이렇게 알고 있는 사실과 달리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자신이 감염된 줄 모르고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존재한다.
이런 환자들은 타인들에게 바이러스를 전할 수 있다.
그래서 전염 위험이 커 미미하더라도 감기같은 증세가 보이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가장 대표적인 C형 간염 치료방법으로는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다.
페그인터페론 및 리바비린 등의 약제를 24~48주 동안 처방해 바이러스를 박멸시키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이런 방법은 비용이 너무 비싸고 부작용 역시 배제할 수 없으며, 반응률도 C형 간염의 유전형에 따라 다양하다.
이러한 이유로 C형 간염은 애초에 예방을 해야한다.
특히 C형 간염이란 백신이 없다.
이런 이유로 체액을 통한 바이러스가 전해지지 않도록 신경써야 한다.
피어싱이나 문신, 그리고 침을 맞을 때 꼭 기구를 소독해야 하고 그 외에 면도기, 칫솔, 손톱 깎기 등 혈액으로 인해 오염 될 가능성이 있는 기구들이 전염시킬 수 있으니 되도록 공유하지 않아야 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