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근하는 횟수가 많아지고 스트레스가 반복되는 현대인들에게는 만병의 근원이 되는 '고혈압'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흔히 고혈압은 중·노년층만의 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최근 예년에 비래 30, 40대의 젊은 고혈압 환자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 나이와 관계없이 고혈압을 예방하는 일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고혈압의 가족력을 갖고 있고 혈압 수치가 정상보다 높은 사람이라면 자신의 혈압에 관심을 기울여 혈압 정상수치로 낮추는 법을 따라해보자. 이에 고혈압의 대표적인 증상부터 고혈압 예방법까지 살펴보자.
젊은층에게 많이 발생하고 있는 '고혈압'
고혈압은 피가 혈관 벽을 너무 세게 미는 것을 의미하는데, 진단 기준이 수축기 혈압이 13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8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최근에는 30~5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대 사람들이 고혈압의 원인 요소인 ▲스트레스 ▲음주 ▲흡연 ▲짜게 먹는 식습관 등에 쉽게 놓이게 되면서 젊은 사람도 고혈압을 안심할 수 없게 됐다. 그러나 젊은 사람들의 경우 질병 자체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치료를 쉽게 방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고혈압에서 합병증으로 이어지거나 2차성 고혈압으로 심각한 심혈관질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절대 방심하거나 방치해선 안된다. 따라서, 가족인원 중에 고혈압 환자가 있거나 흡연자, 비만, 고지혈증 등 고혈압을 유발하는 원인을 가진다면 예방 및 관리를 더욱 각별히 해야한다.
고혈압 예방하는 법, '스트레스 줄이기'
고혈압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고혈압 위험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먼저, 흡연하는 습관은 혈관을 좁게하고 탄력을 잃게 만들어 고혈압을 유발하기 때문에 담배를 끊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술을 마실 경우 혈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나치게 마시는 습관은 버리고 적당히 마시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직장 및 학업 등으로 쌓인 스트레스도 고혈압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적절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취미활동이나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 외에 비만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표준체중을 유지하고 나트륨 함량이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등의 균형있는 식습관을 갖는 것과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도 고혈압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